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법초보 탈출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부모님 재산을 형제 중 누가 더 받았다면 문제 될까? 📌 형제 중 한 명이 상속을 더 많이 받는 불공평한 상속, 괜찮은 걸까?가족 간 재산 문제는 민감하면서도 갈등의 원인이 되기 쉽습니다.특히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형제 중 일부가 더 많은 재산을 상속받거나, 생전에 특정 자녀에게만 재산을 증여했다면나머지 형제들은 억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실제 법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까요?한국의 상속법은 ‘평등한 상속’을 원칙으로 하면서도, 부모의 의사와 생전의 사정에 따라 일부 차등이 생기는 것을 인정합니다.그러나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법적으로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제도가 존재합니다. 그 핵심이 바로 유류분 제도입니다.⚖️ 유류분 제도란 무엇인가요?유류분(遺留分)이란, 고인이 남긴 유산 중 일정 부분을 법정 상속인에게 반드시 남겨주도록 보장한 최.. 2025. 5. 21.
부당 해고를 당했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 갑작스러운 해고, 모두 정당한 건 아닙니다직장에서 어느 날 갑자기 해고 통보를 받았다고 가정해 봅시다.사전 경고도 없고, 해고 사유도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누구든 당황하게 될것입니다.특히 근로기준법을 잘 모른다면, 자신이 부당하게 해고당한 것인지조차 판단하기 어렵습니다.해고는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계약을 종료시키는 행위입다만,아무 이유 없이, 혹은 정당한 절차 없이 이뤄진 해고는 '부당 해고'에 해당하며, 이는 법적으로 무효로 볼 수 있습니다.부당 해고는 근로자의 생계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이기에, 우리 법은 일정한 보호 장치를 마련해 두고 있습니다.🧐 부당 해고란 무엇일까?부당 해고란, 사용자가 근로자를 정당한 이유 없이 또는 정당한 절차 없이 해고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이때 정당한 해고 .. 2025. 5. 20.
알바생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 ✅ 1. 주휴수당이란 무엇일까?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일정 시간 이상 근무했을 경우 유급휴일에 대해 지급받는 임금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르면, 1주일 동안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1일의 유급휴일을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권리가 부여됩니다.예를 들어, A씨가 주 5일, 하루 4시간씩 근무했다면 총 근로시간은 20시간입니다. 이 경우, A씨는 주휴수당을 받을 자격이 부여되며, 주휴수당은 통상임금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2. 알바생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을까?알바생도 법적으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주 15시간 이상 근무: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 2025. 5. 19.
근로계약서 안 쓰고 일하면 생기는 불이익 ✅ 1. 근로계약서의 중요성과 법적 의무근로계약서는 근로자와 사업주 간의 근로 조건을 명확히 하기 위해 작성하는 서류입니다.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르면, 사업주는 근로자가 일을 시작하기 전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작성해 교부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임금, 근로시간, 휴일, 연차, 퇴직금 등의 주요 근로 조건이 포함되어 교부 되야 됩니다.예를 들어, A씨가 회사에 입사했지만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면, 임금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거나 부당한 야근을 강요받더라도 이를 증명하기 어렵습니다. 즉, 근로계약서는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방패막이자, 사업주의 의무를 명확히 하는 법적 증거물입니다.✅ 2.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발생하는 불이익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일할 경우, 근로자는 여러 법적, 경제적 불이익을.. 2025. 5. 18.
회사에서 야근 강요, 거절해도 될까? ✅ 1. 야근의 법적 정의와 기준야근이란 근로기준법상 법정 근로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이때, 야간근로는 밤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의 근로를 의미하며, 야근 수당은 통상임금의 1.5배로 지급되야 합니다(근로기준법 제56조).예를 들어, A씨가 오후 6시에 퇴근해야 하지만 회사의 지시로 밤 10시까지 근무했다면, 4시간은 야근에 해당하며 이 시간에 대해서는 1.5배의 임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2. 야근 거부가 가능한 경우근로자는 원칙적으로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시간 외의 초과근무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계약서에 명시된 경우: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에 야근이 포함되어 있다면, 근로자는 이를 거부하기.. 2025. 5. 17.
퇴사 시 남은 연차 수당 안 주면 법적으로 문제 될까? ✅ 1. 연차 유급휴가 수당이란?연차 유급휴가 수당은 근로자가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하지 못한 연차 휴가에 대해 금전적으로 보상받는 제도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르면,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는 15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이 중 사용하지 않은 휴가는 퇴사 시 금전적 보상으로 청구 가능합니다.예를 들어, A씨가 1년간 근무한 후 5일의 연차를 사용하지 않고 퇴사했다면, 해당 연차일수에 대한 임금은 연차 유급휴가 수당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사용 연차 수당이 법적으로 보호받는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2. 연차 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의 법적 문제퇴사 시 남은 연차 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구체적으로는 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 .. 2025. 5. 16.